매달 찾아오는 생리 기간, 생리용품 구입비 때문에 고민이 많으셨죠? 특히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에게는 월 3-4만원에 달하는 생리용품 구입비가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다행히 정부에서는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월 1만4천원씩 최대 16년간 지원받을 수 있는 이 제도의 자격 조건부터 신청 방법, 실제 사용법까지 모든 과정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대상과 월 지원금액
매달 1만4천원씩 최대 16년간 지원받을 수 있는 생리용품 바우처는 경제적 부담으로 생리용품 구입에 어려움을 겪는 여성청소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약 30만 명의 여성청소년이 이 혜택을 받고 있죠.
지원 자격 기준 확인하기
생리대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자격 기준과 연령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먼저 연령 조건부터 살펴보면, 만 9세부터 24세까지의 여성청소년이 대상이 되며, 2025년 기준으로는 2000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 사이에 태어난 분들이 해당됩니다.
✅ 생리용품 바우처 지원 자격 기준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주거·교육 급여 수급자 - 차상위계층 (차상위자활, 차상위본인부담경감대상자, 차상위장애인, 차상위계층확인서 발급자) - 한부모가족지원법 제5조 및 제5조의2에 따른 지원대상자 - 연령: 만 9세~24세 여성청소년 (2025년 기준 2000.1.1~2016.12.31 출생)
자격 조건은 국가에서 인정하는 저소득층 기준을 따르고 있어서, 이미 다른 정부 지원을 받고 계신 분들이라면 대부분 해당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월 1만4천원 지원 상세 내용
청소년 복지 차원에서 제공되는 생리용품 바우처는 매월 14,000원씩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지급됩니다. 이 금액은 일반적인 생리대 구입비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는 수준으로 책정되었죠.
구분 | 내용 |
---|---|
지원 금액 | 월 14,000원 |
지원 방식 |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
바우처 생성 | 반기별 (1월, 7월) |
사용 기한 | 해당연도 12월 31일까지 |
잔여 바우처 | 익년 1월 1일 전액 소멸 |
바우처는 1월과 7월에 각각 6개월분씩 생성되는데요. 예를 들어 1월에는 84,000원(6개월분), 7월에는 84,000원(6개월분)이 한꺼번에 들어옵니다. 다만 해당 연도가 끝나면 남은 바우처는 모두 사라지니 꼭 기한 내에 사용하셔야 해요.
💡 바우처 소멸 시기 주의사항
2025년 1월에 받은 바우처를 11월까지 사용하지 않았다면, 2025년 12월 31일에 잔여 금액이 모두 소멸됩니다. 또한 자격 조건에서 벗어나게 되면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즉시 바우처가 소멸되니 주의하세요.
지원 기간과 혜택 범위
생리용품 신청이 승인되면 만 9세부터 24세까지 최대 16년간(192개월)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애 전반에 걸친 생리 기간을 거의 모두 커버하는 셈이죠.
특히 19세에서 24세 사이의 성인 여성들은 2022년 5월부터 지원 대상에 포함되기 시작했는데, 대학생이나 사회 초년생들에게는 꽤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연간 168,000원이면 다른 생활비로 활용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기거든요.
생리용품 바우처 신청 방법과 필요 서류
2019년부터 연중 상시 접수가 가능해진 생리용품 바우처 신청은 생각보다 간단한 편입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방법 모두 지원하고 있어서, 본인에게 편한 방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온라인과 방문 신청 절차
생리용품 바우처 신청은 크게 복지로 온라인 신청과 주민센터 방문 신청 두 가지로 나뉩니다. 온라인 신청의 경우 공인인증서가 있는 대상자 본인이나 같은 세대의 부모, 형제자매, 배우자만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어요.
✅ 신청 장소별 특징 - 온라인: 복지로 누리집(www.bokjiro.go.kr) 또는 모바일 복지로 앱 - 방문: 청소년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특례: 주민등록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다른 경우 실제 거주지에서도 신청 가능 - 신청 기간: 연중 상시 (단, 12월은 24일까지만 접수)
방문 신청을 선택하실 경우에는 청소년의 주민등록 주소지를 관할하는 행정복지센터로 가시면 됩니다. 만약 실제로 다른 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현재 거주지의 주민센터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니 편한 곳을 이용하세요.
신청자별 제출 서류 안내
신청할 수 있는 사람의 범위가 꽤 넓은 편입니다. 청소년 본인이나 부모가 원칙이지만, 부모의 사정으로 신청이 어려운 경우에는 주양육자가 대신 신청할 수 있어요.
신청자 구분 | 필요 서류 |
---|---|
청소년 본인 | 신분증 사본 (14세 미만은 법정대리인 동의서 추가) |
부모, 가족, 친족 | 신청인 신분증 사본 + 관계 확인 서류 |
후견인, 법정대리인 | 신청인 신분증 사본 + 대리 자격 확인 자료 |
시설장, 위탁모 등 | 신청인 신분증 사본 + 양육 관계 증빙 서류 |
📌 주양육자 신청 가능 범위
주민등록상 같은 세대의 가족, 가족관계증명서 지참한 8촌 이내 혈족이나 4촌 이내 인척, 후견인, 법정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들이 없는 경우에는 사회복지시설장이나 위탁가정의 위탁모 등 실질적 양육자도 신청 가능해요.
모든 신청자는 사회보장급여 신청서와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를 작성해야 하며, 신청인의 신분증 사본은 필수입니다. 온라인 신청 시에는 서류를 스캔하여 업로드하면 되고, 방문 신청 시에는 원본을 지참해서 복사본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신청 시 주의사항
신청 과정에서 놓치기 쉬운 몇 가지 중요한 포인트가 있습니다. 우선 12월 신청은 24일까지만 가능하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이는 국민행복카드 발급 일정과 연관되어 있어서, 연말에는 처리 시간이 부족할 수 있거든요.
또한 신청이 완료되어도 바로 바우처가 생성되는 것은 아닙니다. 국민행복카드를 먼저 발급받아야 실제로 생리용품을 구매할 수 있어요. 이미 다른 용도로 국민행복카드를 가지고 계신다면 재발급 없이 그 카드를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 국민행복카드 발급 안내
생리용품 바우처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국민행복카드가 필요합니다. 체크카드, 신용카드, 전용카드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카드사별로 발급처와 조건이 다르니 미리 확인해보세요. 14세 미만의 경우 부모 등 주양육자 명의로 발급받아야 합니다.
국민행복카드 발급받는 방법
생리용품 바우처 신청이 승인되었다면, 이제 실제 결제에 사용할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이미 다른 정부 지원 서비스용으로 국민행복카드를 보유하고 계신다면 별도 발급 없이 기존 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요.
카드사별 발급처와 신청 방법
국민행복카드는 총 5개 카드사에서 발급하고 있으며, 각 카드사마다 발급 방법과 제휴 은행이 다릅니다. 본인이 주로 이용하는 은행이나 편리한 발급처를 기준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카드사 | 주요 발급처 | 연락처 |
---|---|---|
BC카드 | 우체국, 농협, 기업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 1899-4651 |
삼성카드 | 신세계백화점 고객센터, 온라인, 모바일앱 | 1566-3336 |
롯데카드 | 롯데백화점 카드센터, 온라인, 모바일앱 | 1899-4282 |
신한카드 | 전국 신한은행 지점, 온라인, 모바일앱 | 1544-8868 |
KB국민카드 | KB국민은행 지점, 온라인, 모바일앱 | 1599-7900 |
발급 방법은 방문, 전화, 온라인 세 가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발급이 가장 편리하지만, 미성년자의 경우 법정대리인 동의가 필요해서 방문 발급을 권장하는 경우가 많아요.
✅ 온라인 발급 시 장점 - 24시간 언제든 신청 가능 - 집에서 편리하게 처리 - 빠른 처리 속도 - 코로나19 등 상황에서 안전
카드 종류와 선택 기준
국민행복카드는 체크카드, 신용카드, 전용카드 세 가지 형태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본인 상황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
체크카드는 연결된 계좌에서 바로 결제되는 방식으로, 신용 심사 없이 발급 가능합니다. 다만 해당 은행에 계좌가 있어야 하죠. 신용카드는 일반적인 신용카드 기능에 바우처 기능이 추가된 형태이고, 전용카드는 바우처 결제만 가능한 특수 카드입니다.
💡 카드 선택 가이드
체크카드: 신용등급에 관계없이 발급 가능, 해당 은행 계좌 필요 신용카드: 일반 신용카드 혜택 활용 가능, 신용 심사 필요
전용카드: 계좌 압류나 신용등급 문제로 다른 카드 발급이 어려운 경우
14세 미만 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 등 주양육자 명의로 발급받아야 하며, 14세 이상이라도 미성년자는 카드 발급 시 법정대리인 동의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발급 시 유의사항
카드 발급 과정에서 주의할 점들이 몇 가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카드사별로 이용 가능한 매장이 다르다는 점이에요. 본인이 자주 이용하는 마트나 편의점에서 해당 카드사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지 미리 확인해보세요.
또한 체크카드 발급을 원한다면 해당 카드사와 제휴된 은행 계좌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신한카드는 신한은행 계좌만, KB국민카드는 KB국민은행 계좌만 연결 가능하죠.
📌 카드 발급 소요 시간
영업점 방문 시에는 당일 발급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온라인 신청 시에는 보통 3-7일 정도 소요됩니다. 연말이나 신청이 몰리는 시기에는 더 오래 걸릴 수 있으니 여유를 두고 신청하세요.
생리용품 구매처와 결제 사용법
국민행복카드를 받았다면 이제 실제로 생리용품을 구매할 수 있는 매장을 알아봐야 합니다. 카드사별로 제휴 매장이 다르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처도 각각 다르니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카드사별 이용 가능 매장
BC카드가 가장 많은 매장과 제휴를 맺고 있어서 선택의 폭이 넓은 편입니다. 이마트, 홈플러스 같은 대형마트부터 CU, GS25 같은 편의점까지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어요.
카드사 | 온라인 매장 | 오프라인 매장 |
---|---|---|
BC카드 | 지마켓, 옥션, 쿠팡, 국민행복몰 | 이마트, 홈플러스, CU, GS25, 농협하나로마트 |
삼성카드 | 삼성쇼핑몰, 국민행복몰 | 이마트, 홈플러스, CU, GS25, 세븐일레븐 |
롯데카드 | 롯데띵샵, 엘포인트몰 | 롯데마트, 홈플러스, CU, GS25, 세븐일레븐 |
신한카드 | 올댓쇼핑, 국민행복몰 | CU, GS25 편의점 |
KB국민카드 | KB Pay쇼핑, 쿠팡, 국민행복몰 | CU, GS25 편의점 |
편의점은 대부분의 카드사에서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지만, 대형마트의 경우 카드사별로 차이가 큽니다. 롯데카드는 롯데마트, BC카드와 삼성카드는 이마트 계열을 주로 이용할 수 있어요.
✅ 매장 선택 시 고려사항 - 집 근처 이용 가능 매장 확인 - 온라인 쇼핑 선호도 - 배송비 부담 여부 - 상품 종류와 가격 비교
온라인과 오프라인 결제 방법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일반적인 카드 결제와 동일하게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하면 자동으로 바우처가 차감됩니다. 생리용품만 구매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조작 없이 간단하게 결제 가능해요.
온라인 쇼핑의 경우 조금 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제 수단 선택 시 반드시 ‘바우처 결제’를 선택해야 하며, 간편결제나 다른 결제 방식을 선택하면 바우처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거든요.
💡 온라인 결제 주의사항
지마켓, 옥션, 쿠팡 등에서 구매할 때는 특정 카테고리를 통해서만 바우처 사용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쿠팡은 ‘출산/유아동 > 국민행복카드 정부지원 바우처’ 카테고리를, 지마켓은 ‘식품,생필품 > 생필품 > 생리대’ 카테고리를 이용해야 해요.
배송비는 바우처로 결제할 수 없어서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G마켓의 경우 무료배송 상품만 구매 가능하므로 이 점도 미리 확인하세요.
바우처 사용 시 주의사항
바우처를 사용할 때 놓치기 쉬운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이 있습니다. 우선 생리용품과 다른 물건을 함께 구매하면 안 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바우처는 오직 생리대, 탐폰, 생리컵에만 사용할 수 있어요.
만약 체크카드를 사용하면서 바우처 금액을 초과하는 상품을 구매하려면, 연결된 계좌에 초과분만큼의 잔액이 있어야 합니다. 바우처 1만원 + 계좌 잔액 1만원으로 2만원짜리 생리용품을 구매하는 식이죠.
📌 결제 취소 시 유의사항
결제를 취소한 후 바로 재결제를 시도하면 바우처 생성에 시간이 걸려서(약 3분) 본인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취소 후에는 3분 정도 기다렸다가 재결제하세요.
기저귀나 조제분유 바우처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별도로 결제해야 합니다. 한 번에 함께 결제하면 생리용품 구매 금액도 본인 카드로 청구될 수 있거든요.
마무리
지금까지 청소년 생리용품 바우처의 지원 자격부터 신청 절차, 카드 발급, 실제 사용 방법까지 전 과정을 살펴봤습니다. 만 9세부터 24세까지의 저소득층 여성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월 1만4천원의 생리대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였죠.
이제 망설이지 마시고 가까운 주민센터나 복지로 사이트를 통해 신청해보세요. 국민행복카드만 발급받으면 전국 어디서든 편리하게 생리용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작은 지원이지만 여성청소년의 건강하고 당당한 일상에 큰 도움이 될 거예요.